주판은 동양의 오래된 계산 도구이자, 단순한 숫자 놀이를 넘어 교육적 효능과 치매 예방 효과까지 겸비한 특별한 존재입니다. 스마트폰과 계산기가 일상화되어 있지만, 최근 몇 년간 초등학교 방과후학교에서 주판 수업이 자리 잡으면서 주판은 어린이들의 수학적 계산능력과 암산 실력을 키워주는 훌륭한 교구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주판이란 무엇인가?
주판은 막대에 구슬을 꿰어 움직이면서 암산을 기초로 하여 숫자를 계산하는 도구입니다. 동양과 서양에서는 각기 다른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특히 중국, 일본, 한국에서 사용되는 주판은 그 형태와 사용법이 비슷하여 ‘동양식 주판’으로 불립니다.
1). 주판의 구조
동양식 주판은 크게 다음과 같은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주판틀: 주판의 전체적인 골격을 이루는 외부 틀입니다.
가름대: 주판을 가로지르는 하나의 막대로, 위 칸과 아래 칸을 나눕니다.
윗알: 가름대 위에 위치한 구슬들로, 각각 5를 나타냅니다. 보통 각 막대당 1개씩 있습니다.
아랫알 : 가름대 아래에 위치한 구슬들로, 각각 1을 나타냅니다. 보통 각 막대당 4개씩 있습니다.
뀀대: 주판을 세로로 가로지르는 여러 개의 막대로, 각 막대는 자릿수를 나타냅니다. 오른쪽에서부터 일의 자리, 십의 자리, 백의 자리 등으로 올라갑니다.
2). 주판의 사용 방법
주판을 사용하여 숫자를 나타내고 계산하는 기본적인 원리는 각 구슬의 위치와 가치를 이해하는 데 있습니다.
2-1). 숫자 나타내기
초기화: 모든 윗알을 위로 올리고, 모든 아랫알을 아래로 내려 가름대에서 멀리 떨어뜨립니다. 이 상태가 0입니다.
주판알 움직이기: 엄지와 검지를 사용하여 구슬을 가름대 쪽으로 움직입니다.
아랫알: 아래에서 위로 가름대 쪽으로 올리면 1, 2, 3, 4를 나타냅니다. (예: 아랫알 1개를 가름대에 붙이면 1)
윗알: 위에서 아래로 가름대 쪽으로 내리면 5를 나타냅니다.
자릿수: 각 막대는 자릿수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일의 자리 막대에 윗알 1개(5)와 아랫알 1개(1)를 가름대에 붙이면 6이 됩니다. 십의 자리 막대에 같은 방식으로 6을 만들면 60이 됩니다.
2-2). 기본적인 덧셈과 뺄셈
덧셈: 더하는 수만큼 구슬을 가름대 쪽으로 옮깁니다. 만약 해당 자리에 구슬이 부족하면, 윗알이나 아랫알을 이용해 “보수(complement)” 개념을 사용하여 자릿수를 올리거나 내립니다. (예: 1에 4를 더하고 싶을 때, 1개 있는 아랫알에 4개를 더할 수 없으므로, 윗알을 내리고 아랫알 1개를 내리는 방식으로 5를 만듭니다.)
뺄셈 : 빼는 수만큼 구슬을 가름대에서 멀어지게 옮깁니다. 덧셈과 마찬가지로 구슬이 부족하면 보수 개념을 사용합니다.
중요한 것은 손가락의 사용입니다. 일반적으로 오른손 엄지로 아랫알을 올리고, 검지로 아랫알을 내리며, 윗알을 내리고 올리는 동작을 수행합니다. 숙련될수록 손가락의 움직임이 매우 중요해집니다.
주판의 교육적 효능
주판 교육은 성장기 어린이들의 암산과 수학적 계산능력, 그리고 전반적인 인지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1). 수리 감각 및 논리적 사고력 발달: 주판은 구슬의 물리적인 움직임을 통해 숫자를 시각화합니다. 이를 통해 아이들은 수의 개념과 자릿값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계산 과정을 통해 논리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추상적인 수학적 개념을 쉽게 받아들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2). 집중력 및 기억력 향상: 주판을 이용한 계산은 높은 집중력을 요구합니다. 구슬의 위치와 숫자를 기억하고 규칙을 적용하는 과정은 자연스럽게 기억력을 단련시킵니다. 특히 머릿속으로 주판을 그리는 ‘암산 주판’은 더욱 고도의 집중력과 기억력을 필요로 합니다.
3). 좌뇌-우뇌 균형 발달 및 문제 해결 능력 증진: 손으로 구슬을 조작하는 활동은 소근육 운동과 눈-손 협응력을 길러줍니다. 이는 시각적 정보 처리와 공간 지각 능력을 담당하는 우뇌를 자극합니다. 동시에 논리적인 계산 과정은 좌뇌를 활성화하여 좌우뇌의 균형적인 발달을 돕습니다. 또한 복잡한 계산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과정에서 문제 해결 능력이 자연스럽게 향상됩니다.
주판의 치매 예방 효과
주판은 어르신들의 치매 예방에도 탁월한 효과를 보입니다. 구슬을 섬세하게 움직이는 손가락 운동은 뇌 기능을 활성화하고, 계산 과정에서 숫자를 지속적으로 기억하고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활동은 인지 기능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새로운 학습을 통해 뇌에 지속적인 자극을 주며, 규칙적인 계산 활동은 집중력과 기억력 향상에도 기여합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두뇌 활동은 뇌의 노화를 늦추고 치매 발병 위험을 줄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다른 취미활동이나 보드게임과 마찬가지로, 주판 학습 그룹이나 동호회에 참여하는 것만으로도 다른 사람들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활발히 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 활동은 고립감을 줄이고 정신 건강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치매 예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주판은 계산만을 하는 도구가 아니며, 두뇌 발달과 인지 기능 유지에 다방면으로 기여하는 강력한 학습 도구이자 치매 예방 프로그램입니다. 디지털 시대에 아날로그적인 주판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그 놀라운 효능을 경험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아이들에게는 암산능력과 계산능력을, 나이 드신 부모님이나 어르신들에게는 건강한 노년을 위한 활력소가 될 것입니다.